한국어 English
제품정보

세계 최고를 향한
코스모신소재

세계 최고를 향한
코스모신소재

  제품정보   /   Toner

Toner

코스모신소재 토너사업

코스모신소재(舊새한미디어) 토너사업은 1967년 자성테이프(비디오,오디오)사업을 바탕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경쟁력있는 자성테이프 제품 생산을 위하여 주원료인 자성산화철을 1987년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습니다.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2004년 토너사업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코스모신소재는 토너 생산규모를 년간 1800톤 규모까지 확대했으며, 현재 컬러토너를 중심으로 전세계 60개 업체에 판매를 합니다.

연구 개발

코스모신소재 토너는 1987년이래 년간 1만톤 규모로 생산하고 있는 자성산화철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신규 토너 제품을 개발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토너 사업초기 자성1성분 프린트용 개발 판매를 시작으로 현재는 고속복사용 비자성 컬러 토너까지 생산하여 전세계 60여개 업체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향후 컬러토너를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추진해 나아갈 계획이며,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통하여 기타 정보전자 소재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Cosmo Toner

코스모신소재 토너는 지역별 고객 요구 특성을 반영하여 품질 위주의 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다양한 Model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제품 설계를 폭넓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난 40년간 축적된 분체 핵심기술과 품질 시스템을 바탕으로 COSMO TONER는 고객의 소리를 더욱 귀 기울이며 글로벌 1등 제품으로 보답하겠습니다.

도입

1938년 칼슨이 마찰대전을 이용한 전자사진 방식을 발명한 이래 전자사진은 아날로그 복사기에서 디지털 방식의 프린터, 풀-컬러 복사기, 거기에 복합기로의 발전까지 사무실에서는 없어서는 안되는 것이 되었습니다. 그에 따라 토너도 복사기의 발전에 맞춰가며 진보했습니다. 토너는 복사기에 사용되는 직경 6~15㎛ 정도의 분말입니다. 토너는 복사기의 감광체상에 형성된 눈에 보이지 않는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눈에 보이도록 해준다는 점에서 전자사진의 핵심이라고도 합니다.

토너의 특징

입자 평균 직경 8㎛를 중심으로 일정한 Size 분포를 갖으며, 유동성 (flow-ability)이 매우 높은 분말입니다.

· 주요 구성 성분은 수지 (Resin) 및 자성체 (Magnetite), 전하제어제 (Charge Control Agent), 안료 (Pigment), 왁스 (Wax) 등이며 이러한 구성 성분 변화에 따라
  색상 대전 특성 열적 특성이 변화하게 됩니다

· 주요 구성 성분은 수지 (Resin) 및 자성체 (Magnetite), 전하제어제 (Charge Control Agent), 안료  (Pigment),  왁스 (Wax) 등이며 이러한 구성 성분 변화에 따라 색상 대전 특성 열적 특성이 변화하게 됩니다

중합토너

분쇄토너

토너의 제조방법에 따른 분류

토너의 현상 방법에 따른 분류

전자사진 프로세스의 기본원리

전자사진의 화상 형성 원리는 마찰대전을 통한 토너의 대전과정, 감광체의 대전과 노광에 의한 정전잠상형성과정, 정전잠상위에 가시화상을 현상하는 과정을 거쳐 감광체로부터 종이 위에 화상을 전사하고 , 최종적으로 정착부에서 열과 압력에 의해 토너를 종이위에 정착시키는 연속적인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① 대전(Charging) : 광수용체(Photoreceptor) 표면에 균일한 전하를 충전

대전공정은 이전 인쇄 과정의 잔류 전위를 제거하는 단계로서 접촉방식의
PCR(Primary charge roller)와 비접촉방식인 코로트론(corotron)방식이 채택되고 있습니다.

② 노광 (Exposing) : 레이저광에 의해 감광체를 노광하여 정전잠상 형성

인쇄할 이미지 형상을 광도전성인 감광체에  LED 또는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노광영역과 비노광
영역의 전위차를 만들어 정전잠상을 형성합니다.

인쇄할 이미지 형상을 광도전성인 감광체에  LED 또는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노광영역과 비노광 영역의 전위차를 만들어 정전잠상을 형성합니다.

③ 현상 (Developing) : 감광체상의 잠상에 토너를 현상하여 가시화

현상기 내부에서는 토너와 캐리어 입자 또는 브레이드 등의 대전부재와의 마찰대전을 통하여 전하를 수여받게 되고, 전하를 받은 토너는 현상롤에서 감광체의 정전잠상으로 옮겨가게 되는데, 정전기력에 의한 전위차로 현상이 됩니다. 여기서 감광체 상에 화상을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④ 전사 : 감광체로부터 종이 위로 토너를 이동시킴

감광체상에 현상된 토너를 정전기력에 의해 종이로 전사시킵니다. 여기서 화상은 종이 위에 나타나게 됩니다.

⑤ 정착 (Fusing) : 종이위에 전사된 토너를 용융시켜 종이에 고정시킴

종이 위에 전사된 토너를 정착시키는 방법으로 열과 압력을 주어 정착시키는 방식이 일반적이며
에너지절감 정책에 따라 저온에서 정착이 가능한 토너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종이 위에 전사된 토너를 정착시키는 방법으로 열과 압력을 주어 정착시키는 방식이 일반적이며 에너지절감 정책에 따라 저온에서 정착이 가능한 토너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세척 (Cleaning) : 감광체상의 잔류 토너를 제거

전사공정에서 전사되고 남은 감광체상의 잔류 토너를 고무 블레이드 등으로 제거하는 단계입니다. 깨끗하게 제거되지 않으면 다음 화상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Black Printer

Color Printer

Black Copier

Color Copier

코스모신소재 토너사업

코스모신소재(舊새한미디어) 토너사업은 1967년 자성테이프(비디오,오디오)사업을 바탕으로 시작되었습니다. 경쟁력있는 자성테이프 제품 생산을 위하여 주 원료인 자성산화철을 1987년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습니다.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2004년 토너사업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코스모신소재는 토너 생산규모를 년간 1800톤 규모까지 확대했으며, 현재 컬러토너를 중심으로 전세계 60개 업체에 판매를 합니다.

연구 개발

코스모신소재 토너는 1987년이래 년간 1만톤 규모로 생산하고 있는 자성산화철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신규 토너 제품을 개발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토너 사업초기 자성1성분 프린트용 개발 판매를 시작으로 현재는 고속복사용 비자성 컬러 토너까지 생산하여 전세계 60여개 업체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향후 컬러토너를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추진해 나아갈 계획이며,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통하여 기타 정보전자 소재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Cosmo Toner

코스모신소재 토너는 지역별 고객 요구 특성을 반영하여 품질 위주의 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다양한 Model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제품 설계를 폭넓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난 40년간 축적된 분체 핵심기술과 품질 시스템을 바탕으로 COSMO TONER는 고객의 소리를 더욱 귀 기울이며 글로벌 1등 제품으로 보답하겠습니다.

도입

1938년 칼슨이 마찰대전을 이용한 전자사진 방식을 발명한 이래 전자사진은 아날로그 복사기에서 디지털 방식의 프린터, 풀-컬러 복사기, 거기에 복합기로의 발전까지 사무실에서는 없어서는 안되는 것이 되었습니다. 그에 따라 토너도 복사기의 발전에 맞춰가며 진보했습니다. 토너는 복사기에 사용되는 직경 6~15㎛ 정도의 분말입니다. 토너는 복사기의 감광체상에 형성된 눈에 보이지 않는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눈에 보이도록 해준다는 점에서 전자사진의 핵심이라고도 합니다.

토너의 특징

입자 평균 직경 8㎛를 중심으로 일정한 Size 분포를 갖으며, 유동성 (flow-ability)이 매우 높은 분말입니다.

· 주요 구성 성분은 수지 (Resin) 및 자성체 (Magnetite), 전하제어제 (Charge Control Agent), 안료 (Pigment), 왁스 (Wax) 등이며 이러한 구성 성분 변화에 따라 색상 및 대전 특성 열적 특성이 변화하게 됩니다

중합토너

분쇄토너

토너의 제조방법에 따른 분류

토너의 현상방법에 따른 분류

전자사진 프로세스의 기본원리

전자사진의 화상 형성 원리는 마찰대전을 통한 토너의 대전과정, 감광체의 대전과 노광에 의한 정전잠상형성과정, 정전잠상위에 가시화상을 현상하는 과정을 거쳐 감광체로부터 종이 위에 화상을 전사하고 , 최종적으로 정착부에서 열과 압력에 의해 토너를 종이위에 정착시키는 연속적인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① 대전(Charging)
광수용체(Photoreceptor) 표면에 균일한 전하를 충전

대전공정은 이전 인쇄 과정의 잔류 전위를 제거하는 단계로서 접촉방식의 PCR(Primary charge roller)와 비접촉방식인 코로트론(corotron)방식이 채택되고 있습니다.

② 노광 (Exposing)
레이저광에 의해 감광체를 노광하여 정전잠상 형성

인쇄할 이미지 형상을 광도전성인 감광체에  LED 또는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노광영역과 비노광 영역의 전위차를 만들어 정전잠상을 형성합니다.

③ 현상 (Developing)
감광체상의 잠상에 토너를 현상하여 가시화

현상기 내부에서는 토너와 캐리어 입자 또는 브레이드 등의 대전부재와의 마찰대전을 통하여 전하를 수여받게 되고, 전하를 받은 토너는 현상롤에서 감광체의 정전잠상으로 옮겨가게 되는데, 정전기력에 의한 전위차로 현상이 됩니다. 여기서 감광체 상에 화상을 눈으로 볼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④ 전사
감광체로부터 종이 위로 토너를 이동시킴

감광체상에 현상된 토너를 정전기력에 의해 종이로 전사시킵니다. 여기서 화상은 종이 위에 나타나게 됩니다.

⑤ 정착 (Fusing)
종이위에 전사된 토너를 용융시켜 종이에 고정시킴

종이 위에 전사된 토너를 정착시키는 방법으로 열과 압력을 주어 정착시키는 방식이 일반적이며 에너지절감 정책에 따라 저온에서 정착이 가능한 토너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세척 (Cleaning)
감광체상의 잔류 토너를 제거

전사공정에서 전사되고 남은 감광체상의 잔류 토너를 고무 블레이드 등으로 제거하는 단계입니다. 깨끗하게 제거되지 않으면 다음 화상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Black Printer

Color Printer

Black Copier

Color Copier

모바일 드롭다운 메뉴
New Client Special Offer

20% Off

Aenean leo ligulaconsequat vitae, eleifend acer neque sed ipsum. Nam quam nunc, blandit vel, tempus.